🦡 오소리웍스OSORIWORKS는 음악가이자 프로듀서인 🍔단편선이 개인으로서 운영하고 있는 프로덕션입니다. 🍔단편선은 🦡 오소리웍스와 함께 하는 작업을 통해 이윤을 취하지 않거나 사회에서 통용되는 통상적인 임금 기준에 비하면 지나치게 낮은 보상 만을 받고 작업을 진행해오고 있습니다. 이렇게 작업을 진행하는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.
- 오소리웍스는 하고 싶은 작업을 하기 위해 설립된 프로덕션입니다.
- 최저임금(2021년 기준 8,720원) 또는 서울시 생활임금 기준(2021년 기준 10,702원) 등을 적용할 때, 이에 따른 비용을 모두 지불하고 작업을 할 수 있을 만큼 자금의 여유가 있는 인디 아티스트는 드물거나 존재하지 않습니다. 합주를 3시간 했을 때 3만 원 쯤, 레코딩 디렉션을 2프로(7시간 가량) 했을 때 7만 원 쯤을 지급하는 등, 작업에 따른 모든 task를 세분화해 이를 지급할 수 있는 인디 아티스트는 드물거나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.
- 이유나 대가 없이 행할 수 있는 선행에는 명확한 한계가 있고, 음악을 '잘' 만드는 일은 작은 선행들로만 이루어질 수 없다 믿습니다. 많은 스트레스와 인력을 포함한 여러 자원의 소요가 동반되는 일이기 때문입니다.
- 따라서 작업에 대한 주도권을 포함한 작업 전반에 있어 '우리의 작업이다' 혹은 '이 음악은 아티스트의 것이지만, 한편으론 나의 작업이기도 하다'는 마음과 신뢰관계가 형성되지 않으면 작업을 할 수 없습니다. 작업을 할 동기부여가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.
🍔단편선은 이러한 제반조건 하에서 프로덕션을 운영하기 위해, 또는 음악을 만드는 일로는 충족할 수 없는 다른 성취감을 느끼기 위해 주40시간 이상의 노동을 하고 있습니다. 주40시간 이상의 노동을 한다는 것은 곧 시간적 여유가 부족하다는 뜻입니다. 잘 할 수 있는 일을 잘 골라서 잘 하려고 노력하는 것만으로도 부족한 시간입니다.
따라서 🦡 오소리웍스에 작업을 제안하실 때는 다음을 꼭 고려해주셨으면 합니다.
- 프로듀서에 대한 fee는 중요하지 않으나 이를 어떻게 인정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보상할 지에 대해서는 계획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.
- 하고 싶은 작업을 하기 위해 설립된 프로덕션인 탓에 하고 싶지 않거나, 좋은 음악이지만 🦡 오소리웍스가 음악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명확하지 않거나, 역시 좋은 음악이지만 🦡 오소리웍스가 잘 해낼 수 없는 종류의 작업이라면 진행할 수 없습니다.
- 혹은 이 모든 조건이 잘 맞아 떨어진다 해도 시간적 여유를 고려할 때 작업이 불가하다 판단된다면 진행할 수 없습니다. 통상 🦡 오소리웍스의 작업은 작은 작업이라 해도 6개월 정도의, 규모가 있는 작업이라면 1년 이상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과 작업을 전제로 진행됩니다.
- 프로듀서에 대한 fee는 중요하지 않으나 컨셉과 전략, 선곡, 편곡, 레코딩, 믹싱, 마스터링, 디자인, 때로는 작곡과 작사에 대해서까지도 프로듀서의 주장과 의견을 존중해주어야 합니다. 이에 대한 결정 권한을 인정해야 합니다. (물론 🦡 오소리웍스는 권한을 남용하지 않습니다.) 또한 이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적극적으로 조달해야합니다. (물론 🦡 오소리웍스도 함께 자원 확보에 대해 고민합니다.)
🦡 오소리웍스가 프로듀싱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은 다음의 영상을 통해 엿볼 수 있습니다.
https://youtu.be/CfXiQJn45gc